해외주식갤러리
광고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LH 주공아파트 월급커트라인 안녕하세요. 제가 최근에 1인가구로 신청해서 lh주공아파트에 당첨이 됬습니다. 지금 계약금도

안녕하세요. 제가 최근에 1인가구로 신청해서 lh주공아파트에 당첨이 됬습니다. 지금 계약금도 걸엇고 전세대출도 받은 상태입니다. 근데 제가 궁금한게 어디서 봤엇는데 1인가구 월급이 얼마이상이면 안된다고 들었었는데 정확한 액수가 기억이 안나요. 알려주실수잇나요? 나이는 27살입니다.

안녕하세요. 소상공인 정책자금 지원을 돕는 전문 컨설팅 업체 '정책자금연구소 바름' 입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 드리겠습니다"

A : LH 주공아파트에 당첨되셨다니 정말 축하드립니다. 계약까지 마치셨고, 월급 커트라인에 대해 궁금하신 점을 문의하셨군요.

문의하신 LH 임대주택의 월 소득 기준은 주택의 유형(국민임대, 행복주택, 매입임대 등)과 모집 공고 시점, 그리고 거주 중인 가구의 소득 및 자산 변동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2025년 기준 1인 가구 소득 기준을 바탕으로, 대표적인 LH 주택 유형별 월평균 소득 기준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소득 기준은 세전 금액이며, 일반적으로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을 기준으로 합니다.

2025년 기준 LH 임대주택 1인 가구 소득 기준 (월평균, 세전)

주택 유형

소득 기준 (1인 가구)

설명

국민임대주택

70% 이하: 2,518,715원

보통 가장 낮은 소득 기준을 적용하며, 저소득층을 위한 주택입니다.

90% 이하: 3,238,348원

행복주택 (청년)

100% 이하: 3,598,715원

청년/신혼부부 등을 위한 주택으로, 소득 기준이 국민임대보다 약간 높습니다.

통합공공임대주택

120% 이하: 4,317,797원

최근에 통합된 임대주택으로, 소득 기준 폭이 가장 넓습니다.

  • 참고:

  • 월평균 소득 계산: 본인 소득뿐만 아니라 세대 구성원 전체의 소득을 합산하여 계산합니다. (1인 가구의 경우 본인 소득만 해당)

  • 소득 종류: 근로소득, 사업소득, 재산소득(이자, 배당 등), 기타소득 등이 모두 포함됩니다.

입주 후 소득 기준 초과 시

입주 이후에는 소득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LH 임대주택은 입주자격 유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조사하며, 소득 기준을 초과할 경우 다음과 같은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1단계 (소득 기준 120% 초과): 초과된 소득에 따라 임대료가 할증(상향)될 수 있습니다.

  • 2단계 (소득 기준 140% 초과): 소득 초과 상태가 지속될 경우 재계약이 거절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입주 후 소득이 많이 늘어난다면, 다음 재계약 시점에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유의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당첨되신 주택의 개별 모집 공고문에서 확인하거나, 계약하신 LH 지역본부에 직접 문의하시면 가장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축하드립니다!

"마지막으로 드리는 말씀"

2025년 정책자금예산은 30조이지만, 많은 대표님들이 몰라서 못받고 계십니다. 정책자금 컨설팅 및 진단이 필요하시다면 프로필 혹은 네이버에 정책자금연구소 바름이라고 검색해주세요. 최저 2% 최대 100억까지 가능한 정책자금, 대표님들에게 맞는 최적화 자금을 찾아 처음부터 끝까지 도와드리겠습니다.

* 채택으로 인해 발생하는 해피빈 콩은 모두 이웃을 위해 기부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